맨위로가기

노아의 방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아의 방주는 히브리어 성경에서 '테바'로 불리며, 창세기에 나오는 노아의 홍수 이야기 속 방주를 의미한다. 성경에 따르면, 하나님은 노아에게 방주를 지어 가족과 동물들을 태우고 홍수를 피하라고 명령했고, 방주는 고페르 나무로 만들어진 3층 구조의 직육면체였다. 노아의 방주 이야기는 메소포타미아의 홍수 설화와 유사하며, 다양한 종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기독교에서는 신앙의 상징으로, 유대교와 이슬람교에서도 선지자 노아를 존경하며, 전 세계적으로 홍수 설화가 존재한다. 현재까지도 노아의 방주를 찾으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으며, 방주의 실존 여부와 관계없이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문화적, 신학적 의미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아의 방주 - 카사르 (아일랜드 신화)
    카사르는 아일랜드 신화에서 홍수 이후 아일랜드에 처음 도착한 인물 중 하나로, 《레보르 가발라 에렌》과 같은 문헌에서 아일랜드 기원을 설명하며, 여성들과 함께 아일랜드에 도착하여 세 수호 여신과 관련된 이야기와 핀탄 설화와 함께 아일랜드 문화와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인물로 묘사된다.
  • 노아의 방주 - 누사이빈
    누사이빈은 헬레니즘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튀르키예 마르딘 주의 도시로, 여러 제국을 거쳐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으며 다양한 문화가 공존했고 현재는 쿠르드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 유대 신화 - 선악과
    선악과는 여러 종교 경전과 신화에 등장하는 금단의 열매로, 창세기에서는 하나님이 먹지 말라고 금지한 열매이며, 이를 어긴 아담과 이브는 에덴동산에서 쫓겨났고, 꾸란에서는 이 열매를 먹으면 죄인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해석과 함께 유혹과 탐닉의 은유로도 사용된다.
  • 유대 신화 - 소피아 (지혜)
    소피아는 고대 그리스어로 지혜를 의미하며, 철학, 종교, 예술 등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되어 기술적 능력, 합리적 판단력, 신의 지혜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 기독교 신화 - 악마
    악마는 여러 종교와 문화권에서 악한 초자연적 존재 또는 악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기독교의 사탄, 이슬람교의 이블리스와 같이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뿔, 날개, 꼬리 등의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사회적 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되거나 철학 및 문학 작품에서 다양한 문제를 다루는 데 사용된다.
  • 기독교 신화 - 성십자가
    성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형에 처해진 십자가 또는 그 유물 조각을 의미하며, 4세기 헬레나의 발견 이후 전 세계로 분산되어 기독교 신앙의 중요한 상징으로 숭배되고 있다.
노아의 방주
지도
기본 정보
히브리어 명칭תיבת נח
아랍어 명칭سَفِينَةُ نُوحٍ
영어 명칭Noah's Ark
관련 이야기창세기 홍수 이야기
설명창세기 홍수 이야기에서 등장하는 배
구조와 크기
재료고페르나무
방수역청
길이약 300 규빗
너비약 50 규빗
높이약 30 규빗
내부 구조3층 구조
기능
목적노아와 그의 가족의 생존
모든 종류의 동물 한 쌍씩의 보호
역사적 해석
홍수 범위전 지구적 홍수(일부 창조론자)
지역적 홍수(대부분의 과학자와 학자)
블랙해 홍수 가설일부 학자들은 흑해의 급격한 범람을 홍수 이야기의 기원으로 제시
과학적 비판방주 크기의 실현 불가능성
모든 동물 종의 수용 불가능성
홍수 발생의 과학적 증거 부족
문화적 영향
종교적 의미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의 상징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하게 여김
예술적 영감많은 예술 작품의 주제
기타
추가 정보일부 창조론자들은 방주의 실존을 주장
과학계는 방주 이야기가 신화적,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고 판단

2. 명칭

노아의 방주는 히브리 성경에서 "네모 상자" 모양을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 "테바"(תֵּבָה)라고 불렸다.[7] 히브리 성경의 주요 헬라어 번역본인 셉투아진트에서는 "테바"를 법궤, 갈대상자 등을 의미하는 "키보토스"(κιβωτός)로 번역하였다. 이후 5세기경 로마 교회는 헬라어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하면서 "키보토스"를 상자, 돈궤, 궤, 관 등을 의미하는 "아르카"(arca)로 번역하였다.

라틴어의 영향을 받은 유럽 언어에서 "아르카"는 '네모 상자'뿐만 아니라 점차 선박을 의미하는 단어로도 사용되었다. 스페인어에서 상자, 궤를 의미하는 "아르카"(arca)를 제외하고, 영어의 "아크"(ark), 프랑스어의 "아르쉐"(arche), 독일어의 "아르헤"(Arche) 등은 네모 상자와 선박을 모두 의미한다.

히브리 성경에서 "테바"는 직육면체 상자를 통칭하는 단어로, 성궤와 아기 모세를 담아 나일강에 띄웠던 역청과 송진을 바른 왕골 상자에도 사용되었다.[7]

3. 성경 속 이야기

창세기 6장부터 9장에는 하나님이 인류의 타락에 분노하여 대홍수를 일으켜 심판하려 했으나, 의로운 사람 노아에게는 방주를 만들어 가족과 동물들을 구원하라고 명령했다는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71]

노아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방주를 만들고 가족과 정결한 짐승 암수 일곱 쌍, 부정한 짐승 암수 한 쌍(혹은 두 쌍), 그리고 새 암수 일곱 쌍을 싣고 홍수를 피했다.[71] 대홍수 때 모든 생물(물고기 제외)이 전멸했지만, 방주에 탔던 노아의 가족과 동물들은 살아남았다.

홍수가 끝난 후, 방주는 아라랏 산에 정착했다.[60] 노아는 까마귀비둘기를 날려보내 물이 빠졌는지 확인했다. 비둘기가 올리브 가지를 물고 돌아오자 물이 줄어든 것을 알게 되었다.[61] 노아 601세 되던 해 2월 27일에 모든 물이 말랐고, 노아는 가족과 동물들과 함께 방주에서 나왔다.[62] 노아는 제단을 쌓고 하느님께 제물을 바쳤으며, 하느님은 노아와 그의 후손에게 다시는 대홍수로 멸망시키지 않겠다고 약속하며 그 증거로 무지개를 보여주었다.[63]

V. 코소프의 그림에 그려진 홍수 때의 노아의 방주.

3. 1. 방주의 구조

창세기 6장 14~16절에 따르면 방주는 길이 300규빗(약 135m), 너비 50규빗(약 22.5m), 높이 30규빗(약 13.5m)의 거대한 크기였다.[72] 지붕과 문을 갖춘 3층 구조로, 고페르나무(잣나무)로 만들어졌으며, 방수를 위해 안팎에 역청을 칠했다.[72]

방주의 내부 세 구역은 고대 이스라엘 사람들이 생각했던 하늘, 땅, 지하의 3부분으로 이루어진 우주를 반영한다.[81] 각 층의 높이는 예루살렘 성전과 같고, 성전 자체는 우주의 축소판 모델이며, 각 층은 장막 뜰의 세 배 면적이다. 이는 저자가 방주와 장막 모두 인류 생존을 위해 봉사한다고 보았다는 것을 보여준다.[44] 방주에는 옆면에 문이 있고, ''tsohar''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지붕이나 채광창일 수 있다.

방주는 고페르 나무로 만들어져야 했는데, 이 단어는 성경 다른 곳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아카드어 ''gupru''에서 온 것으로 여겨진다.[7] 완성된 배는 ''koper'', 즉 역청으로 칠해야 했다. 히브리어에서 두 단어는 ''kaparta''("칠하다") ... ''bakopper''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koper"''는 역청을 의미하는 아카드어 "''kupru''"에서 온 것으로 여겨지므로, 역청이 더 가능성이 높다.[7]

창세기에 기록된 방주의 크기는 길이 300규빗, 너비 50규빗, 높이 30규빗이며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64] 이는 타버너클(천막식 성전)의 3배 높이이며, 타버너클 전정의 3배 면적에 해당한다.[65]

길이 300규빗은 60의 5배, 높이 30규빗은 60의 절반으로, 이 크기에는 60이라는 숫자가 근간을 이루고 있다고 여겨진다.[66] 1규빗을 미터법으로 44.5cm로 환산하면, 대략 "길이 133.5m, 너비 22.2m, 높이 13.3m"가 된다.[67]

"길이:너비:높이 = 30:5:3"의 비율은 현재의 유조선 등 대형 선박을 건조할 때 가장 안정적이라고 알려진 비율과 거의 같다.

3. 2. 방주에 탄 생명체

하느님은 홍수로 인간 세상을 심판하려 할 때, 의로운 사람 노아에게 방주를 만들도록 명령했다. 노아는 하느님의 명령에 따라 가족과 정결한 짐승 암수 일곱 쌍, 부정한 짐승 암수 한 쌍(혹은 두 쌍), 그리고 새 암수 일곱 쌍을 방주에 태워 홍수를 피했다.[71] 방주에는 노아의 가족 8명과 각 종류별 동물 암수 한 쌍이 탔다.[59]

『노아의 방주에 오르는 동물들』(1570년경, 야코포 바사노(Jacopo Bassano), 프라도 미술관(Prado Museum))


『방주에서 나온 후 노아의 감사 기도』(1901년 이전 제작, 도메니코 모렐리(Domenico Morelli))

3. 3. 대홍수와 방주의 정착

40일 동안 비가 내렸고, 150일 동안 물이 불어났다. 이후 방주는 아라랏 산에 정착했다.[60]

40일 후, 노아는 까마귀를 날려 보냈지만, 까마귀는 앉을 곳을 찾지 못하고 돌아왔다. 비둘기를 날려 보냈지만, 마찬가지로 돌아왔다. 7일 후, 다시 비둘기를 날려 보내자 올리브 가지를 물고 배로 돌아왔다. 그리고 7일 후 다시 비둘기를 날려 보냈지만, 비둘기는 돌아오지 않았다.[61]

3. 4. 노아와 하느님의 계약

노아는 방주에서 나와도 좋다는 지시를 받고 가족과 동물들과 함께 방주를 나왔다. 노아는 제단을 쌓고, 불살라 드리는 제물을 하느님께 바쳤다. 하느님은 이에 대해 노아와 그의 아들들을 축복하고, 노아와 그의 아들들과 그 후손들, 그리고 땅 위의 모든 육체에 대해, 모든 생물을 멸망시키는 것과 같은 대홍수는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하느님은 그 계약의 증거로 하늘에 무지개를 걸었다.[63]

4. 다른 문화권의 홍수 설화



세계 각지에는 대홍수 신화가 존재하며, 학자들은 그 발생을 연구하고 있다.[24] 하지만 창세기메소포타미아 신화(특히 길가메시 서사시)처럼 세계적인 규모였다고 주장하는 경우는 드물다. "메소포타미아 근방의 주기적인 자연재해" 또는 "빙하가 녹기 시작했던 당시의 기억" 등 국지적인 사건으로 보는 견해가 많으며, "지구 전체가 멸망할 위기였다"는 신화적 묘사와는 차이가 있다.

메소포타미아 지역 지질 조사 결과, 홍수 흔적으로 추정되는 지층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것이 성경 속 대홍수의 근원이라 해도, 지역적인 대규모 홍수였을 뿐 세계적인 홍수의 증거는 될 수 없다.

길가메시 서사시에서는 우트나피슈팀이 비둘기, 제비, 까마귀를 날려 보내 물이 빠졌는지 확인한다. 비둘기와 제비는 돌아왔지만, 까마귀는 돌아오지 않아 땅이 드러났음을 알게 된다.

힌두교 신화에도 마누와 관련된 대홍수 이야기가 전해진다.

창조론자들은 그랜드 캐니언이 대홍수로 생성되었고, 대륙 이동과 빙하기도 그 후에 급격히 발생했으며, 공룡 멸종과 화석 생성도 대홍수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최근에는 흑해 형성 당시의 홍수(흑해 홍수설)나 에트나 화산 분화로 인한 쓰나미가 대홍수의 원인이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

4. 1. 메소포타미아 신화



길가메쉬 서사시를 비롯한 중동 지역의 고전 서사시에는 노아의 방주와 유사한 홍수 이야기가 등장한다. 홍수 기간, 방주 형태, 특정 인물 선택 등에서 많은 유사점이 발견된다. 기원전 1600년경의 아트라하시스 서사시와 수메르 판본, 기원전 1400년경 라스 시므로 문헌에도 오래된 홍수 설화가 존재한다. 이러한 설화들은 공통적으로 대홍수를 전환점으로 묘사하며, 노아의 홍수 이야기는 히브리 경전 기록 당시 중동 지역 설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8]

1세기 이상 학자들은 성경 속 노아의 방주 이야기가 메소포타미아의 모델에 기반한다고 주장해 왔다. 이 홍수 이야기들은 모두 역사의 시작 무렵에 발생한 사건을 다루고 있어 신화 자체의 기원은 매우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전 지구적 대홍수 신화는 구 바빌로니아 시대(기원전 20세기~16세기)에 처음 등장한다. 메소포타미아 홍수 신화의 등장은 기원전 2004년경 우르 제3왕조의 멸망과 이신 제1왕조에 의한 질서 회복이라는 특정 상황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까지 알려진 메소포타미아 홍수 이야기는 총 아홉 가지 버전이며, 각각 이전 버전에서 조금씩 각색되었다. 가장 오래된 버전은 기원전 1600년경 수메르 도시 니푸르에서 기록된 지우수드라 왕 이야기, 즉 수메르 홍수 신화이다. 이 신화는 이전 버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지우수드라 버전은 신들이 모든 것을 파괴하기로 결정했을 때, 지우수드라가 배를 만들어 생명을 구하는 과정을 묘사한다. 이 기본 줄거리는 노아를 포함한 이후 여러 홍수 이야기와 영웅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지우수드라의 수메르어 이름은 "장수하는 자"를 뜻하며, 바빌로니아 버전에서는 아트라하시스로 불리지만 그 의미는 동일하다.

성경의 노아 이야기에 가장 근접한 버전은 ''길가메시 서사시''에 등장하는 우트나피슈팀 이야기이다. 우트나피슈팀 이야기의 সম্পূর্ণ한 본문은 기원전 7세기 점토판에 기록되어 있지만, 기원전 1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이야기 조각들도 발견되었다. 메소포타미아 홍수 이야기의 마지막으로 알려진 버전은 기원전 3세기에 바빌로니아 사제 베로수스가 그리스어로 작성한 것으로, 남아 있는 조각들을 통해 2,000년 전 버전과 거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노아의 방주와 바빌로니아 홍수 영웅 아트라하시스 및 우트나피슈팀의 방주 사이에는 여러 유사점이 존재한다. 아트라하시스의 방주는 거대한 ''쿠파''와 유사한 원형이었고, 우트나피슈팀의 방주는 여섯 개의 갑판을 가진 정육면체였으며, 노아의 방주는 세 개의 갑판을 가진 직사각형이었다. 세 방주의 갑판 면적은 각각 14,400 큐빗2, 14,400 큐빗2, 15,000 큐빗2로, 매우 흡사하다. 어빙 핀켈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홍수, 노아, 방주에 관한 상징적인 이야기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했다"고 결론 내렸다.

언어적인 유사성 또한 주목할 만하다. 창세기에서 "역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 단어는 일반적인 히브리어 단어가 아니라 바빌로니아 이야기에서 사용된 단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방주"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tēvāh'')는 장방형 배를 의미하는 바빌로니아어 단어(''ṭubbû'')와 거의 동일하다.

홍수를 일으킨 원인은 이야기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히브리 신화에서는 악한 인류에 대한 신의 심판으로, 바빌로니아 ''길가메시 서사시''에서는 신들의 변덕으로 묘사된다.[10] 바빌로니아 아트라하시스 버전에서는 인구 과잉을 줄이기 위해 홍수가 발생하고, 이후 인류를 제한하기 위한 다른 조치들이 도입되었다.[11][12][13]

길가메시 서사시(11판 84-85)창세기(6-9, 18-19)
공통점
신의 분노
영웅은 대홍수가 일어날 것을 미리 신의 경고를 받는다.
영웅은 신으로부터 구체적인 의 제작 방법에 대한 설명을 받는다. 우트나피슈팀: “배의 바닥면이 정사각형”(Tablet XI 24 and 28-30). (창세기 14-16)
영웅은 자신의 가족과 동물들을 배에 태운다.
영웅은 홍수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긴 밤낮, 비가 온 후에 세 마리의 새를 날려 보낸다. (Tablet XI 145-154) (창세기 7-11)
산 정상에 착지홍수가 시작되면 배는 산 정상에 착지한다. 바빌로니아 신화: 니시르 산. 성서: 아라랏 산
그 후길가메시는 홍수 후, 홍수의 생존자이자 불멸을 추구하는 모험 중에 우트나피슈팀과 그의 아내를 만난다.|
계기엔릴 신이 인간의 소란을 잠재우기 위해 홍수로 그들을 멸망시키기로 결정하지만, 에아 신(Ea)은 인간을 불쌍히 여겨 우트나피슈팀과 그의 가족을 구한다.신이 세상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홍수를 일으키기로 결정한다.
이야기의 결말우트나피슈팀과 그의 아내는 시련을 극복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신으로부터 불멸을 받고, 낙원에 산다.노아는 신으로부터 다시는 홍수를 일으키지 않겠다는 무지개의 계약을 받는다.


4. 2. 세계 각지의 홍수 설화



세계 각지에는 노아의 방주 설화와 유사한 홍수 설화들이 존재한다.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등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홍수 설화들은 심판이나 죄의 결과라는 상징으로 활용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24] 이는 인류가 공통적으로 경험했거나 공유하는 기억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길가메쉬 서사시를 비롯한 중동 지역의 고대 서사시들에는 노아의 방주와 매우 유사한 홍수 이야기가 등장한다. 라스 시므로 문헌(기원전 1400년경)에서는 길가메쉬 서사시보다 더 오래된 홍수 설화가 나타나며, 아트라하시스 서사시(기원전 1600년경)와 수메르 판본에서도 유사한 내용이 발견된다. 이러한 설화들은 대개 전환점의 시기로서 홍수를 묘사하며, 노아의 홍수 이야기가 중동 지역에서 히브리 경전 기록에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3세기의 영지주의 텍스트인 『통치자들의 위격』에서는 노아가 악한 통치자들에 의해 선택받아 대홍수에서 구원받는 이야기가 등장한다. 이 이야기에서 노아의 아내 노레아는 신성한 힘을 사용하여 방주에 불을 지르기도 한다.[24] 만다이즘 경전인 『우측 긴자』에도 노아와 그의 가족이 방주를 통해 대홍수에서 구원받았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25]

이슬람교의 경전인 쿠란에서는 방주를 일반적인 배를 의미하는 또는 ''fulk''[26][27]로 묘사하며, 무함마드의 동시대인 압드 알라 이븐 압바스는 알라가 노아에게 새의 배와 같은 형태의 티크 나무 방주를 만들라고 계시했다고 기록했다.[28]

중세 학자 알마수디는 알라의 명령에 순종하지 않은 땅이 소금물을 받아 건조하고 메마르게 되었고, 흡수되지 않은 물이 바다를 형성하여 홍수의 물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기록했다. 그는 방주가 쿠파에서 항해를 시작하여 메카카바를 돌고 주디 산에 도착했다고 전하며, 이 산은 티그리스 강 동쪽 기슭의 자지라트 이븐 우마르 마을 근처 언덕으로, 그의 시대에도 그 장소를 볼 수 있었다고 한다.[29][30]

힌두교 신화의 마누 이야기도 대홍수를 다루고 있다.

고대 대홍수와 관련된 전설과 신화(대홍수 신화)는 전 세계에 존재하며, 그 발생을 주장하는 학자와 연구자도 많다. 하지만, 『창세기』나 메소포타미아 신화(특히 『길가메시 서사시』)에서처럼 세계적인 규모로 발생했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적고, "메소포타미아 근방의 주기적인 자연재해" 또는 "빙하가 녹기 시작했던 당시의 기억" 등의 견해가 더 많으며, "지구 규모로 발생하여 인류와 생물의 위기를 초래했다"는 신화의 묘사와 차이점도 보인다.

메소포타미아 지역 주변의 지질 조사 결과, 실제로 홍수의 흔적으로 추정되는 지층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 재해가 이 지역의 신화나 『성서』의 대홍수 전승의 근원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지역적인 수준의 비교적 대규모 홍수를 넘어서지 못하며, 세계적인 대홍수의 증거는 되지 않는다.

『성서』를 믿는 창조론자들 중에는 미국 그랜드 캐니언도 이 대홍수로 인해 생성되었다고 주장하며, 대륙 이동과 빙하기도 이후에 급격하게 발생했고, 공룡 등의 멸종도 이것에 기인하며, 각종 화석도 이 홍수의 작용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흑해가 형성될 당시의 홍수(흑해 홍수설)나 에트나 화산 분화에 따른 쓰나미가 대홍수의 원인이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

길가메시 서사시(11판 84-85)창세기(6-9, 18-19)
공통점
신의 분노
영웅은 대홍수가 일어날 것을 미리 신의 경고를 받는다.
영웅은 신으로부터 구체적인 의 제작 방법에 대한 설명을 받는다. 우트나피슈팀: “배의 바닥면이 정사각형”(Tablet XI 24 and 28-30). (창세기 14-16)
영웅은 자신의 가족과 동물들을 배에 태운다.
영웅은 홍수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긴 밤낮, 비가 온 후에 세 마리의 새를 날려 보낸다. (Tablet XI 145-154) (창세기 7-11)
산 정상에 착지홍수가 시작되면 배는 산 정상에 착지한다. 바빌로니아 신화: 니시르 산. 성서: 아라랏 산
그 후길가메시는 홍수 후, 홍수의 생존자이자 불멸을 추구하는 모험 중에 우트나피슈팀(Utnapishtim)과 그의 아내를 만난다.
계기엔릴 신이 인간의 소란을 잠재우기 위해 홍수로 그들을 멸망시키기로 결정하지만, 에아 신(Ea)은 인간을 불쌍히 여겨 우트나피슈팀과 그의 가족을 구한다.신이 세상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홍수를 일으키기로 결정한다.
이야기의 결말우트나피슈팀과 그의 아내는 시련을 극복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신으로부터 불멸을 받고, 낙원에 산다.노아는 신으로부터 다시는 홍수를 일으키지 않겠다는 무지개의 계약을 받는다.


5. 종교적 해석

성경창세기에 따르면, 하나님은 인류의 타락을 보고 홍수로 심판하기로 결정했지만, 의로운 사람 노아에게는 방주를 만들라고 명령했다.[58] 방주는 고페르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3층 구조에 많은 방이 있었고, 안팎은 나무 타르로 칠해졌다. 노아는 방주에 가족과 모든 동물의 암수 한 쌍을 태웠다.[59] 홍수는 40일 밤낮으로 계속되었고, 물은 150일 동안 줄어들지 않았다. 이후 방주는 아라랏 산에 멈췄다.[60]

노아는 까마귀비둘기를 날려 보내 물이 빠졌는지 확인했다. 비둘기가 올리브 가지를 물고 돌아오자 물이 줄어든 것을 알게 되었다.[61] 노아가 601세 되던 해에 땅이 말랐고, 노아는 가족과 동물들과 함께 방주에서 나왔다.[62] 노아는 제단을 쌓고 하나님께 제물을 바쳤으며, 하나님은 다시는 홍수로 생물을 멸망시키지 않겠다고 약속하며 무지개를 그 증거로 제시했다.[63]


  • 고대 대홍수와 관련된 전설과 신화(대홍수 신화)는 전 세계에 존재하며, 그 발생을 주장하는 학자와 연구자도 많다. 하지만, 창세기메소포타미아 신화(특히 길가메시 서사시)에 있는 것처럼 세계 규모로 일어났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적고, "메소포타미아 근방의 주기적인 자연재해" 또는 "빙하가 녹기 시작했던 당시의 기억" 등의 견해가 더 많으며, "지구 규모로 발생하여 인류와 생물의 위기를 초래했다"는 신화의 묘사와의 차이점도 보인다.
  • 메소포타미아 지역 주변의 지질 조사 결과, 실제로 홍수의 흔적으로 추정되는 지층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 재해가 이 지역의 신화나 성경의 대홍수 전승의 근원이 되었다고 한다면, 지역적인 수준의 비교적 대규모 홍수를 넘어서지 못하며, 세계적인 대홍수의 증거는 되지 않는다.
  • 또한, 방주에 수용된 "암수 한 쌍의 동물"은 성체일 필요가 없으며, 홍수 기간과 염분 농도 및 그 사이의 먹이 확보라는 (중대한) 문제를 제외한다면, 수중에서 서식할 수 있는 동물을 수용할 필요는 없다는 견해도 있다.
  • 성경을 믿는 창조론자들 중에는 미국 그랜드 캐니언도 이 대홍수로 인해 생성되었다고 주장하며, 대륙 이동과 빙하기도 이후에 급격하게 발생했고, 공룡 등의 멸종도 이것에 기인하며, 각종 화석도 이 홍수의 작용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 다카하시 미노루의 저서 『灼熱の氷惑星』(1975년 발행, 현재 절판)에서는 노아의 대홍수의 원인에 대해 천문학적 관점에서 가설과 검증을 하고 있다. 약 3000년 주기로 지구를 방문하는 지구와 거의 같은 크기의 얼음(물)으로 구성된 혜성 "천체 M"에 의한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지구 궤도에 가까워짐에 따라 "천체 M"은 물의 천체가 되고, 지구에 접근했을 때는 큰 소리와 함께 지구에 약 600경 톤의 물을 가져왔다. 그 홍수(쓰나미)는 직격 지점 부근에서 8750미터가 되고, 지구 전역을 덮어 지구상의 해수면을 100미터 이상 상승시킨 것이 원인이라고 하며, 다양한 홍수 전설과의 유사점도 검증하고 있다. 지구는 행성으로서는 너무 물이 많으며, 그 원인으로 저자는 "천체 M"을 가설로 생각했다. 현재는 지구를 향해 오는 후반 1500년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유사과학의 일종이며, 아스카 아키오 등은 이 설을 계승하고 있다.
  • 현재의 흑해가 형성될 당시의 홍수나 (흑해 홍수설), 에트나 화산 분화에 따른 쓰나미가 대홍수의 원인이라는 설이 최근 제기되고 있다.

5. 1. 기독교

창세기에 따르면, 하나님은 인류의 타락을 보고 홍수로 심판하기로 결정했지만, 의로운 사람 노아에게는 방주를 만들라고 명령했다.[58] 방주는 고페르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3층 구조에 많은 방이 있었고, 안팎은 나무 타르로 칠해졌다. 노아는 방주에 가족과 모든 동물의 암수 한 쌍을 태웠다.[59] 홍수는 40일 밤낮으로 계속되었고, 물은 150일 동안 줄어들지 않았다. 이후 방주는 아라랏 산에 멈췄다.[60]

노아는 까마귀비둘기를 날려 보내 물이 빠졌는지 확인했다. 비둘기가 올리브 가지를 물고 돌아오자 물이 줄어든 것을 알게 되었다.[61] 노아가 601세 되던 해에 땅이 말랐고, 노아는 가족과 동물들과 함께 방주에서 나왔다.[62] 노아는 제단을 쌓고 하나님께 제물을 바쳤으며, 하나님은 다시는 홍수로 생물을 멸망시키지 않겠다고 약속하며 무지개를 그 증거로 제시했다.[63]

초기 기독교 예술가들은 노아를 파도 위의 작은 상자에 서 있는 모습으로 묘사했는데, 이는 격동의 시대에 하나님이 교회를 구원하신 것을 상징했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방주의 크기가 인체의 크기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는데, 이는 인체가 그리스도의 몸이자 교회의 몸이라는 기독교 교리에 따른 것이다.[22] 히에로니무스는 돌아오지 않은 까마귀를 "악의 더러운 새"로,[23] 비둘기와 감람 가지는 성령과 구원의 희망을 상징한다고 보았다.[42]

뉘른베르크 연대기(1493)에 묘사된 방주 건설 장면


안톤 코베르거의 독일어 성경에 나오는 노아의 방주 목판화

5. 1. 1. 신학적 의미

현대 주류 기독교(개신교, 천주교, 정교회)에서는 노아의 방주를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닌, 죄악으로 가득 찬 세상에서 하느님의 정의를 따르는 이들을 보호하는 구원의 상징으로 이해한다.[74] 이는 창세기 1장부터 11장에 이르는 구약성경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는 신학적 사건을 설화 형태로 기록한 것이다.[75]

노아의 방주는 하느님의 구원 과정과 사회악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방주는 단순한 선박이 아니라, 죄로 가득 찬 세상에서 하느님의 정의를 따르는 사람들을 보호하는 하느님의 활동에 대한 히브리 정경 시대의 신학적 이해이자 비유적 표현으로 여겨진다.[75]

방주로 번역되는 히브리어 단어 '테바'(תֵּבָה)는 출애굽기에서 아기 모세를 살린 '상자 바구니'와 같은 단어로, 물에서 사람이 살아남을 수 있는 '직육면체 상자'를 의미한다.[78] 이는 방주가 하느님의 창조와 구원의 길을 따르는 이들을 살리는 도구이자 매개체임을 나타낸다.

구약성서의 오경에서 성막과 방주만이 정확한 크기가 나오는 구조물이며, 이동을 목적으로 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방주의 크기는 길이 300규빗[79], 너비 50규빗, 높이 30규빗으로, 성막보다 훨씬 크다. 3층으로 이루어진 방주는 성막의 9배 크기이며, 이는 방주가 성막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보여준다.[80]

방주는 노아와 하느님의 언약 관계에서 중요한 구조물이다. 하느님이 명령하고 노아가 순종하여 방주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언약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방주는 하느님의 명령을 따른 노아가 구원을 얻고 보증받는 과정의 중심에 있으며, 하느님과 인간의 구원과 언약 관계를 형성하고 이해하는 과정으로 해석된다.[82]

5. 1. 2. 근본주의적 해석

창세기의 "노아의 홍수 이야기"에 나오는 방주축자영감설을 따르는 기독교 근본주의는 비유적 표현이 아니라 과학적 사건이라 주장한다. 이들은 제7일 안식교의 사이비과학인 창조과학을 바탕으로 노아의 방주를 해석하며, 근대 과학적 증명 방법을 고대 문헌인 성경에 잘못 대입하여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76]

고대 사회에서는 현대와 같은 성경 연구 및 분석 방법이 없었기에, 성경을 신학적 진술 서적이 아닌 역사 서적으로 인지하고 노아의 방주를 역사적 기록으로 보았다. 이는 제칠일안식교에서 비롯된 의사 과학인 유사지질학의 일종인 홍수지질학에 영향을 주었다.[83] 과거 근본주의 신학 교회에서는 이러한 해석을 받아들여 역사와 사회의 모든 부분에 성경을 과학 교과서로 채택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홍수지질학을 주장했던 유사지질학자들은 성경에 나오는 노아의 홍수가 어딘가에 그 흔적이 남아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노아의 방주를 찾기 위한 노력을 했으나 실패하였다.[84]

그러나 이러한 근본주의적 시각은 성서신학 연구가 진행되면서 기각되었다. 홍수지질학은 유사과학으로만 주장되며, 현대 성서신학 연구와 성경 해석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미국의 남침례교로 대표되는 일부 극보수주의 계열에서는 여전히 이를 수용하는 경우가 있다.

5. 2. 유대교

유대교에서 노아의 홍수에 대한 해석은 기독교와 거의 같다. 다만 "선택받은 민족"이라는 점에 좀 더 초점을 맞춘다고 한다.

구약성서 창세기에 따르면, 하느님은 땅에 번성한 인간들의 타락을 보고 홍수로 멸망시키기로 결정하고, “하느님과 함께 걸었던 의로운 사람”이었던 노아(당시 500~600세)에게 이를 알리고 방주 건설을 명령했다.[58]

방주는 고페르 나무로 만들어졌고, 3층 구조에 내부에 많은 방이 있었다. 방주 안팎은 나무 타르로 칠해졌다. 노아는 방주를 완성하자 아내와 세 아들과 그들의 아내, 그리고 모든 동물의 암수 한 쌍을 방주에 태웠다.[59] 홍수는 40주야 동안 계속되었고, 지상에 살아있는 모든 것을 멸망시켰다. 물은 150일 동안 지상에서 힘을 잃지 않았다. 그 후 방주는 아라랏 산에 정착했다.[60]

40일 후, 노아는 까마귀를 날려 보냈지만, 앉을 곳을 찾지 못하고 돌아왔다. 그리고 비둘기를 날려 보냈지만, 마찬가지로 돌아왔다. 7일 후, 다시 비둘기를 날려 보내자 비둘기는 올리브 가지를 물고 배로 돌아왔다. 그리고 7일 후 다시 비둘기를 날려 보내자 비둘기는 돌아오지 않았다.[61]

노아 601세 되던 해 1월 1일에 물이 빠지기 시작하여 2월 27일에 모든 물이 말랐다.[62]

노아는 방주에서 나와도 좋다는 지시를 받고 가족과 동물들과 함께 방주를 나왔다. 거기에 제단을 쌓고, 불살라 드리는 제물을 하느님께 바쳤다. 하느님은 이에 대해 노아와 그의 아들들을 축복하고, 노아와 그의 아들들과 그 후손들, 그리고 땅 위의 모든 육체에 대해, 모든 생물을 멸망시키는 것과 같은 대홍수는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하느님은 그 계약의 증거로 하늘에 무지개를 걸었다.[63]

5. 3. 이슬람교

이슬람교에서는 노아예수, 마호메트와 더불어 선지자 중 한 명으로 본다.[31] 노아의 방주 이야기는 신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활용된다.

6. 노아의 방주 탐색

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서기 275년경 ~ 339년) 시대부터 현재까지 노아의 방주를 찾으려는 시도가 이어져 왔다.[44] 1세기 유대인 역사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아르메니아의 코르디아인 산(Mount of the Cordyaeans), 즉 터키의 아라랏 산에서 노아의 방주 파편이 발견되었다고 주장했다.[43] 오늘날 방주의 잔해를 찾는 행위는 널리 사기고고학으로 간주된다.[44][45][46] 여러 곳이 방주의 위치로 제시되었지만, 확인된 곳은 없다.[47][48] 터키 동부의 텐뒤렉 산에 있는 두루피나르 유적지와 아라랏 산이 탐색 지역으로 포함되지만, 방주의 잔해일 가능성이 있는 지질 조사에서는 자연적인 퇴적 지층만 발견되었다.[49] 성경 문자주의자들은 종종 고고학적 역사 속에 방주의 존재를 주장하지만, 대홍수와 함께 방주의 과학적 타당성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50][51]

유럽 여러 나라에서 성경 기록을 바탕으로 탐험, 수색, 발굴이 이루어지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며, 지금까지도 “에덴동산”, “소돔과 고모라”, “예수 그리스도의 성배” 등이 끊임없이 탐색 대상이 되어 왔다. 『구약성서』 기록을 바탕으로 많은 학자와 모험가들이 이 방주를 찾기 위해 수색을 해왔다. 다만 “방주를 찾으러 간 탐험대가 빈손으로 돌아왔다는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다”[68], “나무로 된 방주는 이미 오래전에 부식되어 흙으로 돌아갔을 것이다”[69]라는 비꼬는 듯한 의견도 있다.

다음은 아라랏 산에 착륙했다고 알려진 "노아의 방주 발견" 보고이다.

시대인물 및 기록
고대기원전 3세기 바빌로니아의 역사가 베로수스
1세기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유대 고대사』에서 "아르메니아인들이 방주가 도착했다고 여겨지는 곳을 상륙 지점이라고 부르며, 지금도 잔해를 볼 수 있다."라고 기술. 이전 사람들의 기록으로는 칼데아인 베로소스(위에서 언급한 바빌로니아의 베로소스)의 "방주 일부는 현재도 아르메니아에 남아 있으며, 현지 주민들은 역청을 벗겨 부적으로 사용한다"는 이야기를 덧붙임.[70]
13세기마르코 폴로가 『동방견문록』에서 언급
중세아라랏 산 자체가 신성시되었지만, 1840년 화산 폭발로 인해 주변 일대가 멸망 상태가 됨 (그 이후의 분화는 없음).


7. 현대적 의미와 재해석

현대 사회에서 노아의 방주 이야기는 다양한 의미로 재해석되고 있다. 구약성서 창세기에 기록된 노아의 방주 이야기는 기후 변화와 환경 파괴에 대한 경고로 해석될 수 있다. 성경에 따르면 하느님은 인간의 타락에 대한 심판으로 홍수를 일으켰지만, 의로운 노아에게는 방주를 만들게 하여 생명을 보존하게 하였다.[58][59] 이는 인간의 이기심과 교만이 재앙을 불러올 수 있으며, 정의로운 사람만이 재앙 속에서도 생명을 보존할 수 있다는 상징으로 해석된다.[86]

현대에는 성경에 나오는 방주의 크기를 바탕으로 실제 방주를 복원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2012년에는 요한의 방주(Johan's Ark)가, 2016년에는 방주 체험(Ark Encounter)이 완공되었다.[54][55]

아르메니아의 은화에 묘사된 노아의 방주

7. 1. 환경 문제와 연관성

현대 사회에서 노아의 방주 이야기는 기후 변화와 환경 파괴에 대한 경고로 해석될 수 있다. 구약성서 창세기에 따르면, 하느님은 인간들의 타락을 보고 홍수로 멸망시키기로 결정했지만, 의로운 사람인 노아에게 방주를 만들게 하여 그와 그의 가족, 그리고 모든 동물의 암수 한 쌍을 살렸다.[58][59]

이는 성경 저자들이 홍수 이야기를 통해 인류가 원초적인 혼돈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상징적인 뜻을 표현하려 했다고 해석된다.[86] 홍수는 사람과 국가의 이기주의와 교만이 낳는 재앙과 같은 사건들을 가리키며, 자연 및 인간세계를 혼돈으로 몰아넣는 지독한 형태의 사건들을 상징한다. 그러나 이 본문에서는 또한 정의로운 사람들을 감싸 지켜주며, 그들은 재앙을 가려내고 살아남아 생명을 보존하기 위한 태도를 취할 줄 안다고 설명한다. 즉, 역사는 정의로운 사람들을 통해 계속된다는 것이다.

인류가 하나님의 형상을 깨뜨릴 때, 그 결과는 창조된 세계 전체를 허무는 것이 된다. 하나님의 영광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영광을 찾는 자들이 역사 속에 전쟁, 굶주림, 질병 등과 같은 숱한 재앙을 불러들여 무수한 사람들을 죽게 만든다. 홍수는 그런 역사상의 커다란 재앙들 속에서 드러나는 하나님의 심판을 가리킨다. 올곧게 살면서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 사람들이야말로 다른 사람들을 이롭게 하고 세상을 더 아름답게 만드는 사람들이라고 강조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노아의 방주 이야기는 환경 문제와 연관성을 가진다. 인간의 탐욕과 이기심이 자연을 파괴하고 기후 변화를 초래하는 현대 사회의 모습은, 하나님의 뜻을 따르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사람들에게 닥칠 비극적인 운명을 보여주는 홍수 이야기와 연결될 수 있다.

7. 2. 방주 복원 시도

현대에 이르러 개인과 단체들은 성경에 명시된 치수를 사용하여 노아의 방주를 복원하려고 시도해 왔다. 노아의 방주 복제품 및 파생물[54] 이러한 목적으로 2012년에 요한의 방주(Johan's Ark)가 완공되었고, 2016년에는 방주 체험(Ark Encounter)이 완공되었다.[55]

참조

[1] 서적 The Early Christian World Philip Esler
[2] 서적 The Primeval Flood Catastroph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3] 뉴스 Yes, Noah's Flood May Have Happened, But Not Over the Whole Earth https://ncse.com/lib[...] 2009-08-22
[4] 간행물 The Impossible Voyage of Noah's Ark https://ncse.com/cej[...] 2016-07-10
[5] 간행물 An abrupt drowning of the Black Sea shelf https://web.archive.[...] 2014-12-23
[6] 간행물 Catastrophic flooding of the Black Sea
[7] 서적 The lost world of the flood: mythology, theology, and the deluge debate IVP Academic, an imprint of InterVarsity Press 2018
[8] 서적 From Eden to Exile: Unraveling Mysteries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National Geographic
[9] 웹사이트 Nova: Secrets of Noah's Ark https://www.pbs.org/[...] 2020-05-17
[10] 서적 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with the Apocrypha
[11] 서적 Myths from Mesopotamia: Creation, The Flood, Gilgamesh, and Other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6-04-24
[12] 서적 The Flood Myth https://books.google[...] 2016-05-14
[13] 서적 When the Great Abyss Opened: Classic and Contemporary Readings of Noah's Flood https://books.google[...] 2016-06-24
[14] 서적 Who Wrote the Bible
[15] 웹사이트 Sanhedrin 108b:7–16 https://www.sefaria.[...] 2021-10-13
[16] 서적 Tiku Bachodesh Shofer: Thoughts for Rosh Hashanah Feldheim Publishers
[17]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JewishEncyclopedia.com
[18] 웹사이트 Ibn Ezra's Commentary to Genesis 7:16 http://hebrewbooks.o[...] 2013-05-24
[19] 서적 The Early Christian World Philip Esler
[20] 성경 1 Peter 3:20–21
[21] 웹사이트 Fragments from the Scriptural Commentaries of Hippolytus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07-06-27
[22] 서적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The Christian Literature Publishing Company
[23] 서적 Niocene and Post-Niocene Fathers: The Principal Works of St. Jerome The Christian Literature Publishing Company
[24] 서적 The Gnostic Bible http://www.gnosis.or[...] Shambhala 2022-02-06
[25] 서적 The Book of Kings and the Explanations of This World: A Universal History from the Late Sasanian Empire https://www.liverpoo[...]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24-11-01
[26] 서적 Die Interaktion von Herrschern und Eliten in imperialen Ordnungen des Mittelalters https://www.worldcat[...] Walter de Gruyter GmbH 2018
[27] 간행물 The Use of Islamic Sources in Saadiah Gaon's Tafsīr of the Torah https://muse.jhu.edu[...] 2003
[28] 서적 Legends of the Patriarchs and Prophets and Other Old Testament Characters from Various Sources James B. Millar and Co., New York
[29]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JewishEncyclopedia.com
[30]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JewishEncyclopedia.com
[31] 간행물 Baháʼí News Baháʼí News 1950-02
[32] 웹사이트 The Kitab-i-Iqan: The key to unsealing the mysteries of the Holy Bible http://bahai-library[...] 2007-06-25
[33] 서적 Messages to the Baháʼí World, 1950–1957 http://reference.bah[...] Baháʼí Publishing Trust
[34] 간행물 Compilation 1950-11-25
[35] 위키문헌 The Antiquities of the Jews, Book I
[36] 서적 The Panarion of Epiphanius of Salamis BRILL 2009
[37] 서적 The Quest For Noahs Ark 1974
[38] 서적 The Quest For Noahs Ark 1974
[39]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40]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41] 웹사이트 Cameo with Noah's Ark http://art.thewalter[...] The Walters Art Museum 2013-12-10
[42] 논문 1996
[43] 웹사이트 The Landing-Place of Noah's Ark: Testimonial, Geological and Historical Considerations: Part Four – 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https://biblearchaeo[...] 2023-04-27
[44]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1-17
[45] 서적 Biblical Archaeology: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Encyclopedia of Dubious Archaeology: From Atlantis to the Walam Olum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1-17
[47] 뉴스 Noah's Ark Found? Turkey Expedition Planned for Summer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04-04-27
[48] 뉴스 Noah's Ark Quest Dead in Water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04-09-20
[49] 웹사이트 A supposed cast of Noah's ark in eastern Turkey http://www.csun.edu/[...] 2015-10-26
[50] 웹사이트 Review of John Woodmorappe's "Noah's Ark: A Feasibility Study" http://www.talkorigi[...] 2021-04-06
[51] 웹사이트 The Impossible Voyage of Noah's Ark {{!}} National Center for Science Education https://ncse.ngo/imp[...] 2021-04-06
[52] 웹사이트 AVESTA: VENDIDAD (English): Fargard 2: Yima (Jamshed) and the deluge. https://www.avesta.o[...] 2024-12-05
[53] 서적 Avesta: the sacred books of the Parsen K.J.Trübner
[54] 서적 Full Moon over Noah's Ark: An Odyssey to Mount Ararat and Beyond Simon and Schuster 2016-04-12
[55] 서적 Storytelling the Bible at the Creation Museum, Ark Encounter, and Museum of the Bible Bloomsbury Publishing 2020-04-16
[56] 기타
[57] 웹사이트 聖クルアーン » フード http://www.krn.org/j[...]
[58] 기타
[59] 기타
[60] 기타
[61] 기타
[62] 웹사이트 Genesis flood narrative :en:Genesis_flood_na[...]
[63] 기타
[64] 서적 大洪水が神話になるとき 河出書房新社
[65] 서적 Eerdmans Commentary on the Bible https://books.google[...] Eerdmans
[66] 서적 Mercer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67] 기타
[68] 뉴스 アララト山でノアの箱舟を発見?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日本版サイト 2017-10-25
[69] 뉴스 ノアの箱舟、契約の箱、エデン… 謎の現場を探る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日本版サイト 2018-08-24
[70] 서적 ユダヤ古代誌
[71] 설명
[72] 설명
[73] 웹사이트 http://www.newsnjoy.[...]
[74] 서적 창세기 상 - 세계성경주석 1 솔로몬 2006
[75] 서적 창세기 상 - 세계성경주석 1 솔로몬 2006
[76] 서적 창조과학백과 생명의말씀사 2016
[77] 서적 창세기 - 현대성서주석1 한국장로교 출판사 2000
[78] 서적 창세기 상 - 세계성경주석 1 솔로몬 2006
[79] 설명
[80] 서적 성서주석 창세기 대한기독교서회 2001
[81] 서적 창세기 상 - 세계성경주석 1 솔로몬 2006
[82] 서적 관주해설 성경전서: 개정개역판 대한성서공회 2004
[83] 서적 창조론자들 새물결플러스 2016
[84] 서적 창조론자들 새물결플러스 2016
[85] 웹인용 Genesis-introduction http://www.usccb.org[...]
[86] 웹인용 21세기성경해설 구약편, 국제가톨릭성서공회 http://lifebible.co.[...] 2016-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